본문 바로가기

강아지공부

강아지슬개골 증상, 기수별 특징, 예방방법. 반려견슬개골수술

반응형

 

슬개골탈구 란?

 

우선, 강아지의 슬개골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의 움푹 파인 곳에 들어가 있는 작은 뼈에요.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무릎의 움직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죠. 강아지 슬개골 탈구는 말 그대로 제 자리에 있어야 할 슬개골이 어긋나서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증상을 말해요.

걷고 뛰는데 핵심,

반려견 70%는 슬개골이 아프다고 해요.

슬개골은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방패’이자 다리 근육을 당기는 ‘지렛대’로서 동물이 걷고 뛰는 데 필요한 핵심 부분이에요. 하지만 다리 근육의 압력을 크게 받는 부위라서 다치기 쉬운편이고, 한번 슬개골이 탈구되면 다리 근육도 뒤틀리면서 걷기 힘들만큼 강한 통증이 느껴진다고 해요.

슬개골 탈구는 강아지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지만,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고 전십자 인대 손상, 퇴행성 관절염으로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반려인이 늘 주의가 필요해요.

또 탈구가 일어난 부위에는 체중을 많이 싣지 못해 근육위축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은데요. 오랜 시간 방치된 경우 관절의 변형섬유화가 진행되기도 해서 초기에 발견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 주는게 중요하다고 해요.

강아지 슬개골탈구 원인 및 예방방법

슬개골 탈구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유전을 꼽을 수 있는데요. 강아지들의 80%는 선천적으로 관절의 형체가 취약한 형성이상으로 탈구가 발생된다고 해요.

그중에서도 특히 토이푸들,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말티즈, 치와와 같이 소형견들은 평소 주의 깊은 관찰을 필요로 하지요.

대형견의 고관절 이형성증, 소형견의 슬개골 탈구 등 반려견 다리 질환은 쉽게 유전되는데요. 유럽, 미국의 전문 브리더들은 부모견의 유전병 이력을 관리해서 문제있는 혈통은 도태시키기도 한다고 하네요.

또 다른 요인으로는 비만을 들 수 있어요. 식탐이 많아 살이 찐 강아지의 경우 체중을 견디지 못하고 슬개골이 탈구되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자주 발톱 및 발바닥털 관리를 해줘야하는데 미흡한 것도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해요.

예방 방법으로는 발톱과 발바닥 털이 길 경우 수직으로 서 있기 어려워지면서 뼈에 무리가 갈 수도 있어 평소 생활속에서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줘야해요.

그밖에 과격한 운동, 집에서 잦은 계단 이용, 점프나 뒷발로 서는 행동을 자주하는 강아지도 슬개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자제시켜야 해요. 집안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 러그를 깔아주는 것과 침대나 소파에 계단설치 등이 도움이 돼요.

슬개골탈구 증상

 

1. 걸을 때 아픈 쪽 한쪽 뒷다리를 들고 깡충깡충 걸음을 하거나 뒷다리를 심하게 절름 거리는 경우

2. 슬개골이 원래 위치에서 빠져나와 무릎의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

 

3. 뒤에서 걷는 모습을 보면 뒷다리가 O자 형태로 휘는

안짱다리이거나 밖으로 휘는 오다리인 경우

4.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자주 질질 끌면서 걷는 경우

5. 침대, 소파에 올라가지 못하고 망설이거나 조를 경우.

강아지슬개골탈구 궁금한 점

 

Q. 선천적으로 어떤 점때문에 슬개골탈구가 생길까요?

- 대퇴사두근의 잘못된 배열, 활차구 미 형성, 내측대퇴근의 형성 부전등 골격과 근육이 선천적으로 잘못 형성된 경우에 유전적으로 생긴다고 해요.

 

Q. 영양에도 혹시 문제가 있는건지?

-강아지가 비만이거나, 영양부족으로 인해 근육이 잘 발달되지 않은 경우 관절에 가해지는 압박으로 인해 슬개골 탈구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질순 있다고 해요.

 

Q. 관절에 무리가는 생활 습관은 어떤건가요?

-소파나 침대 점프, 미끄러운 바닥 생활으로 인해 슬개골 탈구 가능성은 점점 높아져요.

 

Q. 합병증도 있나요?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강아지들 중에 15~20% 가 후방십자인대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 단계까지 오게 되면 수술이 불가피할뿐만 아니라 골반 탈구가 동반되는 경우도 많아요. 그리고 원래 탈구가 있던 반대 다리에 슬개골도 탈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슬개골 기수별 증상

출처: applecorssvet.com

슬개골이 좌우로 이탈하는 범위 및 제자리로 돌아오는 정도에 따라 슬개골탈구 1~4기로 구분

슬개골 탈구는 1~4기로 구분해요. 초기 단계인 1, 2기는 슬개골의 이탈 범위가 좁고 복원성이 있어요. 하지만 3, 4기는 슬개골이 무릎 좌우, 심지어 무릎 뒤로 돌아가 반려견에게 큰 고통을 준다고 해요. 또한 외부 도움 없이 슬개골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아 보호자가 수시로 다리 마사지를 해줘야해요.

💡1기의 경우 탈구가 심하지 않고 거의 통증이 동반되지 않아요. 꾸준한 운동을 통해 후지 근육을 발달 시켜주고, 올바른 생활 습관을 길러준다면 큰 불편 없이 살아갈 수 있어요.

 

슬개골 탈구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1~4기로 나누어 지는데, 초기에는 반려견이 살짝 절면서 불편해 하나 정상적인 걸음을 유지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알아채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1기는 슬개골이 제 위치에 있으나 손으로 가볍게 밀면 빠지는 상태인데 손을 떼면 제 자리로 금방 돌아가요. 뒷다리는 거의 돌아가지 않은 상태이고 움직일 때 관절에서 소리도 나지 않아요.

💡2기슬개골 탈구가 있는 강아지들은 슬개골 탈구에 의한 통증을 호소하거나 관절염이 동반될 수 있어요.

슬개골이 그래도 다시 제 자리를 찾아 갈 수 있는 정도라 볼 수 있어요.

2기는 움직임에 따라 빠지기도 하지만 저절로 제 위치로 돌아가거나 가볍게 밀어주면 들어가는 상태로 1기에 비해 탈구가 일어나는 횟수는 늘어나요. 다리를 저는 현상도 잦아지며 누워있을 때 다리를 떠는 증상을 보이기도 해요.

뒷다리는 내측 탈구 기준으로 약 30도 정도, 외측 탈구 시에는 그 보다 조금 더 돌아간 형태로 관찰되고요. 움직이는데 지장은 없지만 방치하면 무릎에서 점점 소리가 뚜렷하게 나며 탈구가 심해짐에 따라 움직임이 불편해져 앞다리에 좀 더 체중을 싣게 돼요.

💡3기 거의 항상 통증이 있고 관절염이 심해져요. 거의 슬개골이 항상 탈구 되어 있다고 보면 돼요.

3기는 밀어 넣어주면 제 위치로 들어가지만 대부분 영구적인 탈골 상태에요. 뒷다리는 30~60도 가량 돌아간 형태로 뒷다리를 반쯤 굽힌 상태로 움직이며 굽혔다 펴는 행동 시 다리를 내외측으로 돌아가게 한다.

외과 수술을 필요로 해요. 슬개골 탈구가 3, 4기라면 슬개골탈구수술을 고민해야 해요. 좌우로 이탈하는 슬개골이 잘 정착할 수 있도록 근육, 뼈의 위치를 교정 시키는 방법이죠.

 

💡4기는 슬개골이 완전히 자리에서 벗어나 더 이상 무릎을 지탱하지 못해요. 보행이 많이 어렵고 통증을 호소 해요.

4기는 슬개골이 제 위치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에요. 60~90도 정도 틀어져 있고 통증으로 인해 뒷다리를 들고 움직이게 되는 모습을 보인다고해요.

진단

 

 

슬개골 탈구 진행 상태의 진료는 엑스레이 및 촉진으로 정확하게 진단될 수 있고,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수술이지만 1기에는 수술을 권하지 않으며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로 증상을 회복시킬 수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반려인이 반려견의 증상을 눈치 채고 내원하는 경우는 2기 이상인 경우가 많아 증상과 진행 상황을 보고 수술 여부를 판단하고, 3, 4기는 수술이 필수라고 하네요.

외과적 수술

출처: redsports.sg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경골회전방지술(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이에요. 경골은 슬개골을 정강이뼈에 묶어주는 이음새에요. 이런 경골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거죠.

출처: redsports.sg

8자 모양의 매듭을 본따 ‘8자 매듭법’이라고도 한다고 하네요.

출처: copelandvets

허벅지뼈에는 슬개골이 위아래로 타고 움직이는 활차구라는 홈이 패여 있다. 마치 기차-선로의 관계와 같다. 이 활차구를 더 깊게 파내는 수술이 '도랑 형성술'이다.

다음으로는 슬개골이 자리잡도록 대퇴골(허벅지뼈)에 홈을 파는 ‘도랑 형성술’(Troachlear Wedge Recession)이에요. 원래도 슬개골은 기차의 선로처럼 허벅지뼈에 움푹 파인 활차구를 타고 움직여요.

이 활차구를 타코 모양의 V자로 더 깊게 파내는 수술

이에요.

수술 후 회복

 

슬개골수술은 수술 후에도 회복기간 동안의 관리가 재발 여부를 결정 지어서 매우 중요해요.

수술 후 바로 움직일 경우 재수술의 확률이 높아지니 일주일간은 케이지 등에 넣어 활동을 제한 시키는 게 좋으며 이후로도 4주 정도는 충분한 안정을 해야 관절 부종이 발생하지 않고 수술 부위가 잘 자리잡을 수 있어요.

2주까지는 냉찜질, 4주까지는 온찜질을 매일 1~2회 해주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되고요. 또한 체중이 늘지 않도록 식이를 조절해 주는 것도 중요해요. 대략 한달 후부터는 가벼운 산책으로 재활치료를 시작 할 수 있어요.

반려견을 고통스럽게 하는 슬개골 탈구, 일상에서부터 예방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해야지 평생을 함께 하는 반려견이 좀 더 행복한 산책을 할 수 있어요.

우리모두 깊은 관심과 예방으로 조심해 보아요.

 

반응형